최근 렌즈업계에선 자외선(UV)에서 청광으로 관심사가 조금씩 바뀌어 가는 듯 하다.
그럴수밖에 없는 것이 전국민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TV등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며, 눈과 직접 관련 된 것이기에 더더욱 그런것 같다.
우선 청광이 무엇인지 좀 알아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블루라이트 (청광, Blue light)
380∼500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
피부과에서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던 빛 파장으로, TVㆍ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와 LED조명기기에서 많이 방출된다.
그러나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눈의 피로는 물론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눈 속의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또 밤 늦게 스마트폰이나 PC, TV를 장시간 볼 경우 블루라이트로 인해 수면유도 호르몬 분비가 저해돼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블루라이트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이렇듯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매우 밀접하게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것이기에
우리 눈은 늘 위험에 노출되고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인지 스마트폰 기능으로 블루라이트필터가 제공되어, 다소 누리끼리한 화면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회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티비 등 일상 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의해 워낙 높은 빈도로 노출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가장 좋은 것은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거나 안하는 것이겠지만, 요즘같은 시대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없이 생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시대가 되어버린것 같다.
그래서 나온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지만, 색감이 확연하게 변해버리기에 다소 꺼려지는 부분도 있다.
또한 내 기기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에 노출되는 것까지 막을 수는 없기에 한정적인 차단 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청광차단렌즈이다.
청광차단렌즈는 렌즈에 청광을 차단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청광이 눈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준다.
우리가 사용하는 안경이 과연 청광을 차단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아쉽게도 거의 없다. 청광이 차단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안경원에 가야하며,
일부 안경원에서는 청광이 차단되는지 청광 레이저를 주사하여 통과 되는지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얼마나 차단 되는지는 알수가 없다.
퀵테크 측정기는 차단이 얼마나 잘 되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집에 있는 세개의 안경을 가지고 얼마나 청광이 차단되는지 측정을 테스트 해보았다.
측정을 위해 퀵테크 Quick1003 제품(복합기)을 이용하였다.
제일 먼저 외출할때 자주 사용하는 변색렌즈가 적용된 안경으로 측정을 하였다.
(참고로 자외선에 노출 될 경우 자동으로 변색이 되는 렌즈가 있는데, 이는 다음에 다르겠습니다)
엇, 변색이 되는 가장 최근에 맞춘 안경인데 청광이 62%나 통과된다. 48%만 차단이 된다.
다음은 조금 오래 되었지만, 업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맞췄던 안경이다.
업무용이기에 잘 차단되겠지 생각했지만, 역시 완벽하게 차단하진 못하였다.
71%가 차단되고, 29%는 여전히 통과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요즘 착용하고 있는 안경이다.
역시 거의 완벽하게 청광을 차단하고 있었다. 99% 청광이 차단되고 있기에 내 눈에 들어오는 청광이 거의 없다.
청광이 얼마나 차된되는지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시길 바란다.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밖에 없는 청광 (직장인이라면 하루 10시간에 가깝게 노출되고 있다)
모든 기기에서 차단 할 수 없다면 안경을 활용하여 청광을 차단하는 것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청광이 차단된다고 하여 100% 차단 되는 것이 아니기에 안경점에서 안경을 맞출 때 꼭 확인해야 할 것이,
단순하게 청광이 차단되는지 레이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아닌, 기계를 활용하여 얼마나 차단되는지 확인해달라고 이야기 하길 바란다.
댓글